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혜,교훈,감동글15

지구 딱 하나 남은....지금도 1만년 전이랑 똑같이 살고 있는 원시인 ‘하드자 족’의 비밀 동굴에서 머무르며 수렵과 채집으로 먹고살다, 집을 짓고 농사를 짓기 시작하고, 전기를 개발하고 기계를 개발하고, 자동차를 타고, 컴퓨터를 쓰고, 스마트폰을 쓰는 우리다. 그런데 여기, 무려 1만 년 동안 이어져 온 인류 초기의 생활 방식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는 부족이 존재한다. 2021년에 이게 무슨 소리일까? 싶겠지만 사실이다. 겉만 전통을 유지하고 사실은 현대화가 많이 진행된 다른 유명 원시 부족과 다르다. 이들은 진짜다. 바로 아프리카 국가 탄자니아의 ‘하드자(Hadza)’ 족이다. 거의 사라져가는 부족 같지만, 놀랍게도 부족 유지에 가장 적합한 1,000명이라는 인원수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는 거 아나? 지구 최후의 원시 수렵 부족이라 부르는 하드자 족은 호수 근처에 있는 동굴에 보금자리를 짓고 .. 2021. 4. 9.
'제대로 미쳐야 부자가 된다'....제대로 미치는 방법 ☆1년만 미쳐라. 1. 당신은 서 있고 다른 사람은 뛰고 있다. 2. 경쟁력이 없다면 라이프 플랜도 없다. 3. 자기경영에 실패한 사람도 신용불량자다. 4. 무엇을 할지 모르는 사람은 바보다. 5. 행동하지 않으면 그 무엇도 얻을 수 없다. 6. 숨겨진 재능은 아무 가치가 없다. 7. 성공하고 싶다면 우직하게 한우물을 파라. 8. 미치면 성공으로 가는 길이 보인다. ☆미치려면 자기 자신을 알아라 1. 성공의 씨앗을 뿌리려면 자기점검을 해라. 2.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생각해라. 3. 갈고 닦으면서 다이아몬드가 될 재능을 찾아라. 4. 능동적인 자세는 '미침'의 초석이다. 5. 자신 안에 숨어있는 리더십을 찾아라. 6. 자신의 역할과 이상을 자문해라. ☆제대로 미치려면 제대로 준비해라 1. .. 2021. 4. 9.
'움직임이 없으면 죽음'....삶은 동사 '살다'이다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쉼 없이 움직인다는 사실 아나? 일어나고 일하고 배우고 만나고 말하고 마시고 노래한다. 잠을 자는 시간에도 숨을 쉬고 몸을 뒤척인다. 움직이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 삶이라는 명사를 파생한 동사는 ‘살다’이다. ‘살다’의 어감을 느껴보면 흥미롭다. 숨을 쉬는 소리 ‘ㅅ’에 양성모음 ‘ㅏ’를 붙이고 흐르는 어감을 가진 ‘ㄹ’로 받쳐놓았다. 졸졸, 솔솔, 돌돌, 같은 흉내말을 보면 ‘ㄹ’을 알 수 있다. 물이 흐르고 바람이 불고 돌이 구르는 소리이다. 끊어지지 않는 움직임이 그대로 느껴지는 생생한 언어이다. ‘살림살이’를 볼까? 구르는 소리가 셋이다. 이렇듯 ‘살다’는 생명의 언어며 ‘삶’은 생명의 일생이다. 우리 사는 세상에 모든 것이 정지한다고 가정해보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2021. 4. 8.
생각의 틀을 바꾸는 12가지 수의 법칙 1. '80대 20' 법칙 : 파레토의 법칙 - 전체 매출의 80%는 상품이나 고객 전체의 20%에서 나온다 - 전체 실패의 80%는 모든 원인의 20% 때문에 발생한다. ☞ 전체 실패의 80%가 20%의 원인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실패의 원인이 되는 20%를 깔끔하게 제거하면 된다. 2. '2대 6대 2'법칙 : 부지런한 개미의 법칙 - 개미의 무리 중 20%는 부지런한 개미, 60%는 보통 개미, 나머지 20%는 게으른 개미 - 개미의 무리에서 게으른 20%를 솎아내면, 남은 개미에서 20%의 게으른 개미들이 새롭게 생긴다 ☞ 부지런함이 반드시 효율성이나 창의성과 같은 덕목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21세기의 기업문화에서는 성실함과 근면함 못지않게 효율성과 창조성을 강조한다. 3. '1:1대결'의 법.. 2021. 3. 16.
반응형